자녀교육
스님께서는 언제나 자녀의 장래가 부모에게서 비롯 된다고 하셨다.
'부모가 검소하고 부지런하고 복을 아끼는 생활을 하게 되면
자녀가 잘 되지 않을 수 없다'고 하시면서 다음의 이야기를
즐겨 들려주셨다.
약 300여년 전의 일이다.
일본 임제종의 관산(關山) 선사는 당시의 국사였다.
그러나 높은 신분에도 불구하고 늘 복을 아껴 음덕을 쌓으면서
공부하는이들을 대접하였고 매일 밭에 나가 김을 매고 도량의 풀을 뽑는 등
곤궁한 생활을 하였다.
또한 동시대에 몽창(夢窓)선사도 국사로 추대되었는데
그는 매일 가마를 타고 다니며 호사스러운 생활을 하였다.
어느 날 몽창국사가 김을 매고 있는 관산국사를 찾아가자
관산선사는 이웃마을 떡집에서 찹쌀떡 일곱개를 사다가 몽창선사에게 대접하였다.
몽창은 시장하던 터라 '맛이 좋다'고 하면서 순식간에 모두 먹어버렸다.
이에 관산선사가 말했다.
"후대아손(後代兒孫)은 무엇을 먹으란 말이요?"
이 한마디에 몽창은 스스로가 행한 모든 처신을 돌아보게 되었고
그 자리에서 예언을 하였다.
"나의 후대 아손들은 관산의 아손들에게 모두 정복될 것이다."
과연 그의 예언대로 몽창의 제자들이 있던 사찰들은 뒷날 관산의 제자들이
모두 차지하게 되었다.
이 이야기를 들려주신 스님께서는 힘주어 말씀하셨다.
"부모가 조금 복이 있거나 여유가 있다고 하여 남을 멸시하고
방탕하게 살게 되면 그 과보를 금생에 바로 받을 뿐 아니라
후대아손들 까지 힘들게 만든다.
누구든지 힘이 있을 때 관산선사처럼 겸손하게 헌신하고
복을아껴 음덕을 쌓아야 한다.
아무쪼록 자녀교육은 어려서부터 싹을 틔워야 하는 것이니
부모 되는 이들은 아이들이 어릴 때부터 본받을 수 있는 신심 있는 생활을
스스로가 먼저 실천하여야 한다."
나아가 스님께서는 꼭 실천하여야 할 자녀교육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교훈을 주셨다.
1. 모든 일에 '외모 보다는 마음을 아름답게' 가꾸도록 가르쳐라.
밥 먹을 때에는 감사한 생각을 갖게해야 한다.
하늘과 땅과 해와 달과 비바람의 은공, 그리고 무더운 여름에 흘린
농부의 땀 덕분에 밥을먹게 되었다는 것을 알게 해 주어야 한다.
2. 항상 명랑함과 쾌활함을 잃지 않도록 격려하라.
몸을 고요히 하고 얼굴을 찌푸리지 못하게 하며
부드럽고 착하고 어질고 순하고 온화하되, 일에 임할 때는 정의감을 가지고
서릿발 같은 냉정한 과단성을 갖도록 해야 한다.
3. 다니거나 앉고 눕고 할 때에 몸을 마구 흔들거나 손짓 발짓을 하지 않게 하며
발가락 사이를 후비거나 입을 크게 벌려 하품하거나
다리를 꼬아서 앉지 않게 가르쳐야 한다.
밥을 먹을 때 이리저리 돌아 다니며 장난치지 못하게 하고
침이 튀도록 떠들거나 수저에 밥알을 묻혀 다른 국물을 떠먹거나
음식물을 남기지 않게하며, 여럿이 먹는 식탁에서 맛있는 것을
자기 앞으로 끌어다 놓거나 맛있는 것만 가려 먹지 않도록 가르쳐야 한다.
4. 무슨 물건이든 쓰고 나면 반드시 제자리에 가져다 두는 습관을 기르도록 하고
약속시간, 공부시간, 집회시간을 잘 준수하도록 가르쳐야 한다.
스님께서는 흰 종이나 흰 옷감에 무슨 색깔을 먼저 물들이느냐가 중요하듯이
어릴 때의 가정교육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늘 강조하셨다.
아울러 자녀들이 성장하게 되면 될 수 있는 한 '잔소리'를 하지 말것을 이르셨는데
이와 관련하여 배꼽의 비유를 즐겨 들었다.
"우리의 몸은 360골절과 8만 4천 털구멍으로 되어 있다.
이 몸은 엄마의 뱃속에서 완성된다.
엄마의 몸과 연결된 탯줄로 피를 돌게 하여 몸을 다 만들면 태어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태어난 다음 탯줄이 붙어 있으면 안 되므로 그것을 끊고 매어놓는다.
며칠이 지나면 매어놓았던 탯줄이 똑 떨어지고 입을 딱 닫아버린 배꼽이 된다.
우리 몸에는 눈이 둘이요, 콧구멍이 둘이요, 귀구멍이 둘이요,
입이 하나요, 대소변 보는 데가 둘이요, 배꼽이 하나이다.
모두 합하여 열 개의 구멍이 있다.
딴 구멍은 열려 있어야 하나, 뱃구멍인 배꼽이 열려 있으면
바람이 들어가서 죽기 때문에 꼭 닫고 있다.
사람의 몸을 다 만들었기 때문에 입을 닫고 있는것이다.
이 말을 왜 하느냐 하면 참으로 진리적으로 요긴한 말이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식을 낳았지만 그들이 성장하면 그냥 좀 놓아둘 줄 알아야 한다.
입을 열어 잔소리를 하게 되면 될 일도 꼬이게 되니 배꼽처럼
입을 닫아야 한다.
'시어머니 잔소리는 꾸어다가도 한다'는 속담이 있지만 시어머니 되는 사람이
입을 좀 닫고 있어야 되지, 입을 열어 잔소리를 많이 하면
배꼽을 열고 있는 것과 같아서 좋지가 않다.
곧 요즘 며느리들이 시부모를 모시지 않고 딴살림을 차리는 까닭도
이 잔소리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깊이 새겨야 한다."
또한 지도자가 되는 지름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남을 지도하는 사람이 되거나 위대한 사람이 되려면 마음 가운데
나쁜 생각이 없어야 한다.
쓸데없는망상과 잡념이 없어져야 하는 것이다.
마치 금광석을 캐면 그 속에 금도 있고 은도 있고 동도 있고 철과 아연 등의
많은 잡철이 섞여 있는데, 이것을 제련해서 다빼버리고 24금을 이루어야
세계에 통용되는 보배가 되듯이, 사람의 마음 가운데 하찮은 생각이
쑥 빠져나가야 남을 지도할 수 있는 사람이 될 수있는 것이다."
결국 모든 것은 한마음이다.
마음 하나 잘 쓸 때 가정도 생업도 사랑도 행복도 명예도 꽃핀다는 것이다.
이에 스님께서는 강조하셨다.
*천하의 변화를 알고자 하는 이, 그 마음을 안정되게 하라.
*천하의 일을 의논하고자 하는 이, 그 마음을 평등하게 가져라.
*천하의 착한 일을 받아들이고자 하는 이,그 마음을 비워라.
*천하의 물질을 용납하고자 하는 이, 그 마음을 크게 열어라.
- 경봉스님 -